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Battle Brothers/육성법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투핸더 === 추천 딜링 퍽 : '''광전사(Berserk)''', '''살육 광란(Killing Frenzy)''', '''각종 무기 숙련''' 추천 탱킹 퍽 : '''전투 담금질(Battle Forged)''', '''약자(Underdog)''', 사거리 이점(Reach Advantage), 거한(Colossus) 추천 유틸 퍽 : '''회복(Recover)''', 교대(Rotation) 혹은 발놀림(Footwalk), 아드레날린(Adrenaline), 건장함(Brawny), 길잡이(Pathfinder), 타고난 재능(Gifted), 고독한 늑대(Lone Wolf), 날렵한 손놀림(Quick Hands) 추천 적성: 근접 공격(★~★★★), 근접 방어(★★), 피로도(★★) 중 2가지 이상 만족 추천 초기 능력치: 체력 55, 근접 공격 52, 근접 방어 5, 원거리 방어 0, 피로도 100, 의지 35 이상 권장 능력치 : 체력 70, 피로도 140, 근접 공격 85, 근접 방어 30 추천 무기 : 양손검, 양손도끼, 양손망치, 양손메이스, 양손클리버 이 게임의 주력 대미지 딜러. 방패 없이 양손무기를 들고 한 턴에 적을 두어 명씩 베어 넘기는 파괴전차. 양손 클리버를 제외한 모든 양손무기는 공격 1회에 6 AP가 소모되기에, 공격 한 번에 적 하나 이상을 처치한 뒤 광전사 퍽으로 돌려받은 AP로 다시 공격하는 것이 기본 전략이다. 게임 운영의 핵심이 되는 용병들이기에 듀얼리스트만 키운다거나 폴암병만 키운다거나 하는 독특한 컨셉플레이를 하는 게 아닌 이상 보통 최종 로스터에서 4~7인 정도는 투핸더로 채우게 된다. 기본적으로 근접 방어 30 이상의 능력치에 전투 담금질 및 약자 퍽 덱으로 방어력을 올리고, 여기에 더해 사거리 이점까지 사용하면 방패를 든 것보다 조금 낮은 정도의 근접방어를 유지 가능하다. 중갑에 양손무기를 사용할 경우 2~3턴에 피로도를 거의 모두 소진하기 때문에 회복 퍽 역시 필수적으로 찍게 된다. 다음은 각종 무기의 사용 효율성. 참고로, 양손창과 양손플레일을 제외한 모든 1열 양손무기는 AP 6을 소모하는 방패 부수기 스킬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양손 도끼가 가장 효율이 좋다. * 양손검 - 너프를 많이 먹어 자체 딜링 능력이 다른 무기에 비해 상당히 낮다. 단, 일직선 두 명 공격과 둘레의 3명 공격이 모두 가능해서 적이 어떤 배치를 해도 광역기 사용이 가능하기에 둔기와 더불어 라인 양쪽을 맡기에 좋은 무기, 다만 구버전과 달리 깡뎀 너프를 먹어서 인기가 많이 식었다. 하지만 명중률 5%의 이점은 남아있고 2열 버전이 없기에 퀵핸드 퍽이 불필요해서 기프티드 백스태퍼를 다 찍을 수 있어서 명중률 보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근공 성장이 기대만큼 되지않은 용병은 그냥 해고하지만 철폐나 거대함 같이 해고하기엔 트레잇이 너무 좋은 용병들을 활용하기에 좋은 옵션이다. * 양손도끼 - 자체 성능이 매우 훌륭하다. 일반 양손도끼는 6방향 특수공격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아군 피격의 위험이 있어 보통은 일직선 2명 공격을 가진 바디쉐를 더 선호한다. 그러나 아주 높은 피로도, 리졸브를 가진 용병이 있다면 고독한 늑대 퍽을 찍어준 뒤 별동대로 운용할 수도 있다. 한 턴에 6방향 공격 2번을 사용해서 적 6명을 도륙낸 뒤 회복으로 피로도를 회복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면 최강의 파괴전차가 탄생한다. 피로도 소모가 심한 편이니 피로도가 넉넉한 용병에게 들려주는 것이 좋다. 2열 버전 롱액스를 보조무기로 들려준 후 퀵핸드 퍽을 찍어주는 경우 AP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 양손망치 - 갑옷 파괴에 특화된 무기. 기본 대미지도 훌륭하며 특수공격 휘두르기는 둘레의 3명을 공격한다. 피격 시 넉백 가능성이 있으며 해당 적의 턴을 맨 뒤로 보내버린다. 특수 공격을 쓰기 위해 전열의 양 귀퉁이에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피로도 소모가 심한 편이니 피로도가 넉넉한 용병에게 들려주는 것이 좋다. 2열 버전 폴해머를 보조무기로 들려준 후 날렵한 손놀림 퍽을 찍어주는 경우 AP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 양손클리버 - 단일 대상 공격밖에 없으나 출혈 피해를 입히고 양손무기 중 유일하게 공격에 AP 4가 소모되는 무기. 때문에 운용법이 투핸더보다는 듀얼리스트와 비슷해서 다른 양손무기보다는 한손클리버와 주로 비교된다. 엔드스펙으로 간다면 듀얼리스트 퍽을 찍은 뒤 잘 뜬 유니크 오크 클리버를 쓰는 것이 양손 클리버보다 갑옷을 입은 적을 상대로 한 딜링 면에서는 더 강하지만 양손클리버는 얼음 동굴에서 확정적으로 유니크를 획득할 수 있고 완전히 방어구가 없는 일부 야수를 상대로는 훨씬 강하다는 장점이 있어 장단점이 있다. * 양손메이스 - 단일 대상 공격밖에 없으나 무려 2턴 확정 스턴을 먹일 수 있는 단일 딜링 & 유틸성에 특화된 무기. 강력한 소수의 적과 싸울 때 특히 그 효과가 빛을 발하며 한 턴이라도 움직이도록 놔두면 위험한 강적으로부터 본인과 아군을 지키는 방어적인 성향의 투핸더이다. 또한 다른 양손무기보다 피로도 소모가 월등히 적으므로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후달리는 투핸더에게는 양손메이스를 들려주는 것이 가장 좋다. 2열 버전 폴메이스를 보조무기로 들려준 후 퀵핸드 퍽을 찍어주는 경우 AP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 양손창 - 비추천 무기. 1열 양손창은 고덴탁 하나뿐인데 대미지도 약한 것이 단일 공격밖에 못 하며 특수 공격인 스턴은 겨우 1턴 지속에 확률도 75%밖에 안 된다. 유일한 장점은 20% 명중 보너스로 저레벨부터 사용 가능하다는 것인데 어차피 저레벨에는 양손무기를 사용하지 않으니 의미가 없다. * 양손플레일 - 비추천 무기. 최소 대미지와 최대 대미지 널뛰기가 너무 심해서 삑사리가 날 위험이 크고 막상 최대 대미지도 별로 높지 않다. 6방향 특수공격은 양손도끼와 겹치는데 모든 스펙에서 양손도끼에 밀린다. 그래서 플레이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적이 들고 나오면 높은 헤드샷 확률 때문에 최대 대미지 + 헤드샷 한 방에 용병 하나를 보내버리는, 전형적인 내가 쓰면 구린데 AI가 쓰면 무서운 무기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